
[목차]
01. 인테리어에서 수전이 중요한 이유
02. 수전의 종류와 구조
03. 공간별 추천 수전 스타일
04. 수전 교체 체크리스트
수전은 물을 틀고 잠그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공간의 분위기와 스타일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설치 위치, 손잡이 방식, 물줄기 조절 기능, 컬러와 마감 재질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주방, 욕실, 샤워 공간 등 공간에 따라 어울리는 형태도 달라집니다. 위생과 편의성은 물론, 시각적 포인트로도 작용하는 수전의 매력을 함께 살펴보세요.
01. 인테리어에서 수전이 중요한 이유

수전은 욕실과 주방에서 단순한 기능을 넘어 공간의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전체 인테리어의 분위기에 자연스레 녹아들게 연출할 수도 있으며, 때로는 과감한 컬러나 마감으로 단조로운 공간에 시각적인 포인트를 더하기도 합니다. 어떤 수전을 설치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만큼, 제품을 선택할 때는 기능성과 디자인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02. 수전의 종류와 구조
(1) 시공 방식에 따른 분류
수전은 본체 노출 여부와 설치 방식에 따라 매립형과 입수형으로 나뉘며, 어떤 수전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벽면 같은 주변 공간을 더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공간에 개방감을 주거나 정돈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① 매립형 수전

수전 본체를 벽 안에 매립하고, 외부에는 물이 나오는 토수구와 온도 조절 손잡이만 노출되는 방식입니다. 시공이 복잡해 더 큰 비용이 들지만, 외관이 깔끔하고 욕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② 입수형 수전

가장 일반적인 수전 시공 방식으로, 냉·온수 배관 구멍이 드러난 상태에서 타일 마감 후 토수구를 연결하는 형태입니다.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쉬워 많이 사용됩니다.
(2) 타공 개수에 따라
수전은 세면대나 싱크대에 뚫린 구멍(타공)의 개수에 따라 본체와 손잡이 구성 방식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원홀, 투홀, 쓰리홀로 구분되며, 공간의 구조와 인테리어 스타일, 사용자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① 원홀 수전

타공이 하나일 때 시공하는 수전으로, 구조가 간결하고 설치가 편리한 것이 특징입니다. 본체 내부에 냉·온수 호스가 통합되어 있어 손잡이 하나로 수온 조절이 가능하며 폭이 좁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어 욕실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② 투홀∙쓰리홀 수전

타공이 3개인 세면대나 싱크대에 사용하는 수전으로, 가운데에는 토수구, 양쪽에는 냉·온수 조절 손잡이가 각각 설치되는 구조입니다. 투홀 수전은 일반적으로 본체와 토수구, 손잡이 2개로 구성되며, 간단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쓰리홀 수전은 클래식하거나 빈티지한 분위기를 연출할 때 자주 사용되며, 토수구와 조절 손잡이가 분리되어 있어 디자인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싱크대에서는 투홀 수전에 청소용 스프레이 건(청소건)을 추가로 설치해 실용성을 높이기도 합니다.
03. 욕실과 주방의 수전 선택
수전은 주방과 욕실에서도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설치되는 만큼 분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설치 구조나 물 조절 방식에 따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각 공간의 용도와 사용 환경에 맞춰 수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주방(싱크대) 수전

주방에서는 조리와 설거지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생과 실용성을 고려한 수전 선택이 중요합니다. 특히 대면형 주방이 늘어나면서 수전은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도 주목받고 있는데요.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원홀형 수전으로, 샤워기형 수전이라고도 불리며 손잡이를 당기면 호스가 확장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물을 뿌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브라형 수전은 U자 형태의 노출형 호스를 통해 헤드의 위치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 기능도 함께 갖춰 활용도가 높습니다. 최근에는 호스가 본체에 숨겨진 형태인 거위목 수전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각도 조절은 제한적이지만, 헤드에 유연한 호스를 결합한 형태를 사용하면 실용성 또한 챙길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터치 센서로 간편하게 작동하거나, 과일이나 야채 같은 식재료 또는 식기 세척 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수전이 있습니다.
(2) 욕실 수전
① 세면대 수전


세면대 수전은 사용할 때의 편의성과 설치 공간의 구조에 따라 형태를 달리 선택해야 합니다. 세면기가 하부장 위에 올려진 탑볼 형태라면, 높이에 맞춰 목이 긴 수전을 시공해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세면대를 조적식으로 시공했거나 젠다이(일자형 선반)가 설치된 구조라면 수전 본체가 벽 안에 매립되는 매립형 수전을 적용해야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습니다.
② 샤워 수전


샤워 수전은 사용자의 생활 방식과 욕실 구조에 맞춰 설치 방식과 형태를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벽면이나 천장에 샤워 헤드와 조절 밸브가 모두 드러나는 노출형 수전은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 관리가 쉬워 널리 사용됩니다. 반면, 매립형 수전은 배관을 벽 안에 감추고 토수구와 조절 손잡이만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미관상 깔끔하지만, 시공 난이도가 높고 이후 구조 변경이 어려워 설치 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04. 수전 교체 체크리스트
(1) 수전 교체가 필요한 경우

① 녹물 발생
노후화된 수전은 내부 배관에 녹이 생겨 녹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돗물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므로, 수전 상태를 점검해 교체 시기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② 누수 발생
오래된 수전은 부품이 마모되면서 물이 새거나 잠기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누수는 물 낭비뿐 아니라 결로가 생기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이 마모된 상태라면 수전을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수압 저하
수전 내부의 이물질이나 마모로 인해 수압이 약해지면 세면이나 샤워 시 불편함이 생깁니다. 수전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면 원활한 수압을 회복할 수 있어 사용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2) 셀프 수전 교체 시 유의사항
수전의 구조를 이해하면 셀프 교체도 어렵지 않습니다. 교체가 필요한 수전이 있다면, 먼저 설치 위치와 규격을 정확히 확인한 후 알맞은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작업 전에는 렌치 또는 스패너, 테프론 테이프 등을 준비하고 올바른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교체 착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① 교체 전 준비물

② 수전 교체하기

✓ 메인 수도 밸브 잠그기
수전을 교체하기 전, 메인 밸브를 잠가 물 공급을 차단합니다.
✓ 기존 수전 제거
연결된 호스를 렌치로 천천히 풀어 분리합니다. 남아 있는 물이 흘러나올 수 있으니 수건을 미리 준비합니다.
✓ 새 수전 설치
연결 부위에 테플론 테이프를 감고, 렌치로 적당한 힘으로 고정합니다. 과도하게 조이면 나사나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작동 및 누수 확인
메인 밸브를 다시 열고 수전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누수는 없는지 확인합니다.
③ 수전 교체 후 유의사항

✓ 연결 부위(호스, 본체 주변 등)에 물이 새는지 확인합니다.
✓ 필요한 경우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실리콘 처리를 합니다.
✓ 스프레이 타입의 수전이라면 모드 전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체크합니다.
✓ 물이 세면대나 싱크대 중앙으로 잘 떨어지는지 수전 방향과 각도를 확인합니다.
[Key Point] 📍 수전은 대면형 주방과 미니멀리즘 트렌드에 따라, 단순한 도구를 넘어 욕실과 주방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디자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설치 방식이나 타공 개수, 사용 공간의 특성에 따라 수전을 적절히 선택하면 공간 활용도와 심미성을 모두 높일 수 있습니다. 📍 수전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수압이 낮아지거나 누수가 발생하면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 해당 콘텐츠는 (주)엘엑스하우시스에 귀속되며,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 내 이미지는 Shutterstock에서 유료로 제공받아 제작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