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 가이드

[초급] 창호의 세계 ⑤ - 유리 1

등록일 2022.05.30 조회수 1,826
pin image




목차


01. 유리의 기능성

02. 열관류율과 에너지소비효율등급

03. 유리의 종류



우리 집을 밝고 따뜻하게 지켜주는 창호. 그 중에서도 유리는 창호 면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창호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프로파일, 부자재 등 창호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투명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실내 공간의 시야를 넓히고, 집 안에 빛을 들이는 역할을 하는데요. 오늘은 창호 유리의 기능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01. 유리의 기능성

pin image


유리는 모래, 소다, 석회 등의 혼합물을 녹였다가 냉각하는 방식으로 만드는 투명도가 높은 물질인데요. 창호에서 유리는 여러 소재와 부품을 결합해 성능을 갖추는 프로파일과 달리 하나의 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리 자체의 기능성이 중요합니다. 창호 유리는 대표적으로 단열성, 차폐성, 채광성 등의 기능이 있는데요. 각 기능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단열성

pin image


‘단열성’은 실내와 실외의 열기가 통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창호의 대표적인 성능입니다.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이면 난방 시스템으로 실내 온도를 높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데요. 어떤 창호 유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밖으로 빠져나가는 실내 난방 에너지가 달라지게 됩니다.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는 창호는 주로 빈 공간을 두고 판유리를 2장 이상 겹쳐 제작하는 복층 유리를 사용하는데요. 이러한 복층 유리의 판유리를 로이 유리로 바꿔주거나, 판유리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면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차폐성

pin image


‘차폐성’은 태양열을 차단하는 정도를 뜻합니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창호 유리가 태양열을 그대로 흡수한다면 실내 공간에 열기가 축적되어 마치 온실처럼 매우 뜨거워질 텐데요. 주거 공간의 냉방 에너지를 보존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창호 유리의 차폐 성능이 중요합니다. 차폐 성능은 ‘태양열 취득률’이라는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요. 창호 유리의 태양열 취득률이 낮을수록 태양열의 유입이 적어 차폐 성능이 좋다는 뜻입니다. 


채광성

pin image


‘채광성’은 창호를 통해 실내에 우리 눈에 보이는 빛(가시광선)을 받아들이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창호 유리는 실내를 환히 밝히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는데요. 흔히 창호 유리를 통해 빛이 잘 드는 경우, 채광이 우수하다고 말합니다. 로이 유리를 적용하면 실내 열은 빠져나가지 않게 하면서 빛은 최대한 투과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02. 열관류율과 에너지소비효율등급

pin image


창호 성능에 있어서 ‘열관류율’은 여름철 냉방 에너지와 겨울철 난방 에너지 손실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됩니다. 열관류율은 단위 면적당 물체를 통하여 열이 전달되는 비율을 말하는데요. 열관류율이 낮을수록 열이 물체를 통과하는 정도가 낮아서 건물의 단열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in image


한국에너지공단에서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을 통해 창호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5단계로 표시하고 있는데요. 이 등급은 창을 통해 열 손실을 방지하는 정도인 열관류율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기밀성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라벨에 표시된 등급, 열관류율, 기밀성은 그 수치가 낮을수록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함을 뜻합니다.


03. 유리의 종류

pin image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는 크게 세 가지 분류 기준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첫 번째로 ‘기능성’을 기준으로 구분한다면, 한 장의 판으로 구성된 ‘단판 유리’와 단판 유리 표면에 특수 코팅을 입혀 성능을 높인 ‘로이 유리’가 대표적인데요. 제조된 판유리는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방식에 따라 강도가 달라집니다. 로이 유리는 표면에 코팅을 입히는 방식과 코팅막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제품으로 나뉩니다. 


pin image


두 번째로는 ‘용도 또는 사용처’를 기준으로 유리의 종류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는 창호는 일반적으로 2장 이상의 판유리를 간격을 두고 겹쳐서 제작하는 복층 유리를 사용합니다. 복층 유리는 겹쳐지는 판유리의 개수에 따라 2장이면 복층 유리, 3장이면 삼복층 유리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건축용 기준으로 나뉘는 유리들은 사용되는 판유리의 종류와 판유리 사이의 공기층 두께에 따라 단열 성능이 좌우됩니다.


pin image


세 번째로는 ‘인테리어’를 기준으로 제조 방식과 디자인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종류로 살펴볼 수 있는데요. 이 유리들은 투명한 유리 표면에 색을 넣거나, 무늬를 새기거나, 별도의 코팅으로 디자인적 요소를 결합한 유리입니다. 주거 공간의 창호에 사용되어 시선을 차단하거나, 실내 공간에 포인트를 주기 위해 사용되며, 형태와 디자인에 따라 종류가 더욱 세분화될 수 있습니다.


유리는 프로파일 소재와 함께 창호의 성능을 좌우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인데요. 투명하지만 제조 방법, 설치 방식, 디자인 등에 따라 그 종류가 굉장히 다양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달라지는 기능성 기준 유리의 종류를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pin image

※ 상기 시공 예시 이미지와 제품 디자인/색상 등은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실제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본 페이지는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 내용으로 개별 사양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당사가 공급하지 않는 자재/제품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해당 컨텐츠는 (주)엘엑스하우시스에 귀속되며,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