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01. 도어란?
02. 도어의 세 가지 구성 요소
03. 도어의 다양한 종류(개폐 방식별/기능별)
04. 도어의 대표 부자재
05. 도어 선택 가이드
06. 실제 공간 속 도어 시공 사례
도어는 공간을 구분하는 동시에 이어주는 구조물로,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본적으로 도어는 문짝, 문틀, 부자재로 구성되며, 여닫이형과 미닫이형 등 개폐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요. 여기에 글라스 도어, 안전 도어 등 기능에 따른 선택도 중요합니다. 도어 표면 소재는 원목, 무늬목, ABS, 멤브레인 등으로 다양하고, 소재에 따라 질감과 내구성, 관리 방식이 달라지며, 핸들, 경첩 같은 하드웨어도 사용성과 디자인에 영향을 줍니다. 오늘은 도어 선택을 위한 기본 정보와 소재별 특성, 실제 시공 사례까지 알아보고, 우리 집에 꼭 맞는 도어를 선택해 보세요.
01. 도어란?

도어는 공간을 구획하고 연결하는 핵심적인 구조물입니다. 집에 들어서기 전 가장 먼저 마주하는 현관문은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는 첫 번째 경계로, 보안・단열・방음 등의 기능을 담당하며, 실내에서의 도어는 방과 방 사이에서 공간을 구분하는 동시에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듯 도어는 공간의 기능과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테리어 요소입니다.
02. 도어의 세 가지 구성 요소

도어는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정교한 구조물입니다. 주거 공간의 도어는 설치 위치에 따라 현관문, 방문, 욕실문 등으로 구분되는데요. 역할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비슷한 직사각형 형태를 띱니다. 그 이유는 도어가 공통된 구조를 바탕으로 제작되기 때문인데요. 기본적으로 도어는 문틀, 문짝 그리고 핸들, 경첩과 같은 부자재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1) 도어의 중심이 되는 문짝

공간을 나누고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도어는 어떤 표면 소재를 적용했느냐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를 크게 좌우합니다. 특히 문짝은 도어 전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데요. 인테리어 스타일뿐만 아니라 공간의 특성과 환경, 유지 관리의 편의성까지 고려해 도어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도어의 표면과 뼈대가 되는 코어 소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① 도어 표면
✔️ 자연의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원목 도어



먼저, 도어에 사용되는 원목은 나무 고유의 질감과 무늬를 그대로 살린 고급 소재로, 오크나 월넛, 체리, 부빙가 같은 단단한 수종이 자주 사용됩니다. 원목 소재는 밀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깊이 있는 색감과 자연스러운 무늬가 특징인데요. 원목 도어는 자연 소재 특유의 깊이감이 드러난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게가 무겁고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원목 감성을 살린 가벼운 무늬목 도어

무늬목 도어는 천연 원목을 얇게 슬라이스 해 만든 무늬목을 도어 표면에 붙여 완성한 형태입니다. 원목의 무늬와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가볍고 경제적인데요. 겉보기에는 원목 도어와 유사하지만, 무게 부담이 덜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나무 표면을 얇게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에 약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 면이 떨어질 수 있어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 실용성을 위한 선택, ABS 도어

ABS 도어는 목재 대신 ABS 수지라는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해 제작됩니다. ABS 수지는 습기와 열에 강해 뒤틀림이나 변형에 강하며, 표면 시트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 물 사용이 잦은 욕실이나 다용도실에서 쓰기 적합합니다. 가볍고 실용적인 소재로 다양한 색상, 패턴이 담긴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어 원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에 맞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디자인, 멤브레인 도어

멤브레인 도어는 MDF 판재 위에 고온·고압 방식으로 시트를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표면에 다양한 무늬나 홈을 가공할 수 있어 디자인의 폭이 넓고, 제작 공정도 간편해 가격이 저렴합니다. 다만 내부 소재가 목재인 만큼, 원목 도어와 마찬가지로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해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코어 소재

도어 구조의 중심이 되는 코어 소재는 문짝의 강도와 형태를 유지하는 ‘뼈대’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심재로는 발포 PVC 심재와 LVL(Laminated Veneer Lumber)이 있습니다. 발포 PVC는 경량이면서도 단단해 ABS 도어의 외곽 보강용으로 적합하며, 습기에도 강합니다. LVL은 여러 겹의 얇은 원목을 접착해 만든 공법목으로, 문짝이 뒤틀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줍니다. 이 외에도 안쪽 충격을 흡수하는 허니콤 구조, 그리고 MDF나 합판 패널 위에 코어와 충전재가 결합해 문짝의 형태와 무늬를 완성하는 패널 구조가 사용됩니다.
(2) 도어를 지지하는 프레임, 문틀

문틀은 문짝이 안정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벽체에 고정하는 프레임입니다. 벽에 문을 끼우기 위한 구조이자, 벽과 도어를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도어를 닫았을 때 문짝과 제대로 맞물려야 하므로 ‘ㄴ’자 모양으로 턱을 내어 문짝이 잘 닫히도록 잡아줍니다. 주로 목재 또는 PVC로 제작되며, 아래쪽에 설치되는 하부 문틀에는 가스켓을 부착해 소음이나 바람, 냄새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습니다.
(3) 작지만 필수적인 존재, 부자재

부자재는 도어가 제대로 열리고 닫히도록 도와주는 작은 구성 요소지만, 도어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부자재는 핸들(손잡이)로, 사용자가 문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경첩(힌지)은 문짝과 문틀을 연결해 문이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장치이며, 문을 제대로 닫힌 상태로 유지해주는 래치와 캐치는 문짝과 문틀 사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03. 도어의 다양한 종류(개폐 방식별/기능별)
도어는 설치 위치, 개폐 방식, 기능,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기 때문에 공간에 적합한 도어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개폐 방식별, 그리고 기능별로 나눠 도어의 주요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1) 개폐 방식별 도어의 종류
① 여닫이 도어

문을 당겨 열고 밀어 닫는 여닫이 방식으로, 주로 현관, 방, 욕실 등 다양한 공간에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타입의 도어입니다. 여닫이 도어는 한 방향으로 열리는 도어, 두 방향으로 모두 열 수 있는 양방향 도어, 비대칭 크기로 구성된 비대칭 양개 도어 등으로 나뉘는데요. 시공 시 문이 열릴 수 있을 만큼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② 미닫이 도어

문을 양옆으로 밀어 열고 닫는 방식으로, 공간 효율성이 뛰어난 도어입니다. 여닫이 도어보다 개폐 반경이 작아 좁은 공간이나 가구 배치가 복잡한 곳에 적합합니다. 한쪽만 움직이는 1도어 슬라이딩, 양쪽으로 열리는 양방향 슬라이딩, 개구부 크기에 따라 여러 장의 문을 겹쳐 열고 닫는 구조 등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2) 기능별 도어의 종류
① 글라스 도어

글라스 도어는 문 일부에 유리를 삽입해 채광과 시야를 확보하고 디자인 효과를 높인 도어입니다. 패턴 유리를 사용하면 빛을 산란시켜 공간감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투명, 미스트, 플루트, 아쿠아 유리 등 다양한 질감과 마감으로 연출이 가능한데요. 프라이버시가 필요한 욕실엔 작은 창으로 빛만 들이되 외부 시야는 차단하고, 발코니나 복도와 연결되는 주방 등 좁고 어두운 공간에는 큰 유리를 적용해 개방감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② 안전 도어

안전 도어는 어린 자녀나 노약자,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어입니다. LX Z:IN 안전 도어에는 180도 돌아가는 안전 핸들과 도어 일체형 안전 경첩이 적용되어 바람에 의해 갑자기 문이 세게 닫히거나 문틀과 문짝 사이에 손이 끼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③ 히든 도어

문틀과 문선 몰딩을 없앤 히든 도어는 최근 무몰딩을 중심으로 한 미니멀 인테리어 트렌드와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히든 도어는 데코시트를 마감하지 않은 ABS 패널 상태로 출고되어 현장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마감하는 제품으로, 벽체와 도어가 하나가 된 듯 공간에 일체감을 줍니다.
이처럼 도어는 개폐 방식에 따라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달라지고, 기능에 따라 안전성이나 개방감 등 사용자의 경험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어를 고를 때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사용 목적, 설치 위치, 주변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5. 도어의 대표 부자재: 핸들과 경첩
도어를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 중 부자재는 도어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적 하드웨어입니다. 특히 도어의 핸들과 경첩은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구성 요소인데요. 특히 손이 끼는 사고를 줄여주는 LX Z:IN 안전 도어처럼, 하드웨어 하나만으로도 사용자의 일상에 실질적인 안전과 편의를 더할 수 있습니다.
(1) 핸들의 종류
모든 도어에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이 기본으로 포함됩니다. 핸들은 형태와 작동 방식이 다양하므로, 도어의 용도와 디자인, 설치 위치에 맞는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 설치해야 합니다.

원형 핸들은 손에 쥐고 좌우로 돌리는 방식으로, 최근에는 정전기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우드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으로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레버 핸들은 ‘ㅡ’자 형태의 손잡이를 아래로 눌러 여는 구조로, 어린아이부터 노약자까지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대가족이 주거하는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컵 핸들은 돌출된 손잡이 없이 링을 당겨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로 점검구나 기계실 등 출입이 드문 공간에 활용됩니다.

그중에서도 LX Z:IN 안전 도어에 적용되는 안전 핸들은 180도까지 회전하는 구조로, 문이 완전히 닫히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로 인해 문이 갑자기 닫히며 문틈에 손이 끼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어린 자녀나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공간을 오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문짝과 문틀을 연결하는 경첩

도어의 개폐를 구현해주는 경첩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도록 돕는 부자재입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위치에 있지만, 경첩 없이는 도어가 제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일반 경첩은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뛰어나 무거운 원목 도어에 적합하며, 이지 경첩은 별도의 가공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가벼운 ABS 도어에 주로 사용되는데요. 이지 경첩은 특히 주거 공간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LX Z:IN 안전도어에는 안전 핸들뿐만 아니라 안전 경첩 역시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짝과 문틀 사이의 빈틈을 최소화한 구조로 설계되어 손 끼임 사고를 방지합니다. 안전 도어의 경첩은 문에 내장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며, 문이 닫힐 때 틈이 벌어지지 않아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 유용합니다.
도어 핸들과 경첩은 기능적인 하드웨어이자 인테리어의 일부로, 디자인, 내구성,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한 선택처럼 보일 수 있지만, 공간의 편의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디테일이 되기도 합니다. 이제 사용자의 취향과 공간의 특성에 맞춰, 나에게 꼭 맞는 도어를 고르기 위한 가이드를 알아봅시다.
06. 도어 선택 가이드
도어는 벽과 가장 가깝게 맞닿아 있는 만큼 색상, 마감, 틀 구성에 따라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도어를 선택할 때는 먼저 공간의 용도와 개폐 방식에 따라 문틀 구조를 고려해야 하며, 전체 인테리어 스타일과 어울리는 컬러와 마감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개폐 방식과 환경에 따른 문틀 선택
① 여닫이 도어

미니멀 인테리어를 원한다면 몰딩을 최소화한 슬림 문틀 또는 무몰딩의 히든 도어가 적합합니다. 문과 벽이 깔끔하게 이어지며, 몰딩이 보이지 않아 깔끔한 구조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단, 슬림 문틀이나 히든 도어를 적용한다면 정밀한 시공과 꼼꼼한 마감처리가 필수입니다. 반면, 클래식한 분위기를 원한다면 입체적인 몰딩이 있는 일반 문틀이 공간에 풍성함을 더해줍니다.




문틀은 하부 문틀의 설치 여부에 따라 3방 틀, 4방 틀로 나뉘며, 벽과 만나는 몰딩의 마감 방식에 따라 인방형, 평문선형으로 구분됩니다. 3방은 위와 양옆 총 3면에 문틀을 설치하는 형태입니다. 하부 문틀이 없어 청소가 편하고, 이동할 때 발에 걸려 다칠 우려가 없어 자주 여닫는 방문에 시공합니다. 4방은 3방 구조에 하단 문틀을 추가하는 형태인데, 두 공간의 바닥 높이가 다르거나 방수와 방음이 필요한 욕실과 다용도실에 적용합니다. 또한 몰딩 방법에 따라 윗부분의 문선을 천장까지 이어지도록 한 인방형과 문틀 테두리의 두께를 동일하게 마감한 평문선형 중 인테리어 분위기에 맞는 문틀을 결정해 시공해야 합니다.
② 미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의 시공 방법은 레일의 노출 여부에 따라 매립형, 노출형으로 나뉘며 벽 안에 문을 숨기는 포켓도어 방식도 존재합니다. 무문선, 무몰딩 인테리어처럼 심플한 공간을 원하거나 공간의 유기성을 고려한다면 매립형을,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미닫이 도어를 원한다면 노출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포켓도어 방식은 문턱과 레일이 없어 더욱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지만, 목공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문짝이 벽 안에 시공되어야 하므로 시공 비용과 난이도가 높습니다. 그래서 설계 시 벽체 구조와 벽면의 길이 등을 고려해 시공을 결정해야 합니다.
(2) 감각적인 분위기 연출을 위한 컬러 가이드
최근 도어에 인테리어필름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컬러를 적용하는데요. LX Z:IN은 다양한 디자인 도어 컬러를 제공하고 있어 모던, 어반, 클래식, 트렌디 등 연출된 공간 분위기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습니다. 모던하고 개방감 있는 공간을 원한다면 화이트나 라이트 그레이 같은 모노 톤의 컬러 도어가 적합합니다. LX112 모노 화이트 또는 LX113 라이트 그레이 같은 뉴트럴 컬러는 모던하고 깔끔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공간을 고급스럽게 완성합니다. 이런 색상은 실내를 밝고 넓어 보이게 해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아이 방이나 홈 오피스처럼 개성 있는 공간의 매력을 살리고 싶다면, 채도가 높은 컬러의 도어나 우드톤의 필름을 적용하면 공간에 따뜻함과 아늑한 분위기를 더할 수 있습니다. 또한 LX Z:IN 인테리어필름은 도어와 창호의 필름 색상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는 제품이 있는데요. 도어 인테리어필름의 색상을 창호와 몰딩 색상에 맞춰 매치하면 컬러가 통일감 있게 어우러져 공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07. 실제 공간 속 도어 시공 사례

미니멀한 무몰딩과 무문선 디자인을 적용해 모던한 분위기를 조성한 화이트 톤 인테리어 시공 현장입니다. 공간에 일체감을 더하기 위해 화이트 컬러의 LX Z:IN 도어 ZN010을 시공해 군더더기 없는 간결한 스타일을 완성했습니다.

어린 자녀가 사용하는 방에 손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LX Z:IN 안전도어 ZNS10을 적용한 사례입니다. 핸들이 180도까지 회전하는 안전 도어는 핸들을 돌려두면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설계되어 어린이 안전에 최적화된 솔루션입니다.
화이트 톤 마감재로 깔끔한 공간을 연출하고, 도어와 문틀에 네이비 컬러와 핑크 컬러로 포인트를 준 현장입니다. 네이비 컬러의 방문과 핑크 컬러의 욕실 도어를 각각 적용해 생동감을 더했습니다. 특히 욕실문으로 시공한 LX Z:IN 도어 ZNT10에는 조명 사용 여부는 확인할 수 있되, 내부가 보이지 않는 패턴 유리를 적용한 점이 돋보입니다.


LX Z:IN 도어 ZN050에 딥그린 컬러를 포인트로 사용해 세미 클래식 무드를 더한 공간입니다. 거실에서 방으로 이어지는 공간에는 3방 틀을 시공했으며, 바닥의 단차가 있고 물을 자주 사용하는 욕실과 이어지는 공간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시공해 협소한 욕실에도 효율적인 동선을 확보했습니다.
주방 상부장과 하부장, 도어 컬러를 다른 배색으로 구성해 시각적 리듬을 살린 현장입니다. 다용도실 출입문에는 패턴 유리를 삽입한 LX Z:IN 도어 ZNT30을 적용해 채광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확보했으며, 내부 공간은 은은하게 가리되 개방감을 유지했습니다.
[Key Point] 📍 도어는 문짝, 문틀, 부자재로 구성되며, 공간을 나누고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문짝과 문틀의 소재, 개폐 방식, 안전 핸들과 안전 경첩과 같은 기능적 요소 등을 고려해 공간의 특성과 용도에 맞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도어의 컬러와 표면 마감재를 고를 때는 전체 인테리어 스타일과 공간의 용도에 맞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상기 시공 이미지와 제품 및 디자인, 색상 등은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실제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단종 및 디자인 변경 등으로 동일한 제품 구매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주)엘엑스하우시스에 귀속되며,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 내 이미지는 Shutterstock에서 유료로 제공받아 제작하였습니다.
- 이전글
- 다음글
등록된 다음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