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01. 이국적 인테리어의 핵심 요소
02. 공간별 휴양지 스타일 연출법
03. 시공 사례로 보는 다양한 이국적 인테리어
여름이 되면서 이국적인 감성으로 꾸미는 인테리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라탄, 우드, 리넨 등 자연 소재를 활용하고 테라코타, 딥블루 같은 포인트 컬러를 더하면 집에서도 충분히 휴양지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 보헤미안, 모로칸, 트로피컬 스타일의 텍스타일이나 소품을 배치하면 이국적인 무드를 한층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타일은 소재와 컬러의 선택뿐 아니라, 공간별로 조화롭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지금부터 이국적 스타일링의 특징과 공간 연출법을 살펴보고, 실제 시공 사례를 통해 우리 집에 적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찾아 보세요.
01. 이국적 인테리어의 핵심 요소
(1) 자연 소재
공간의 분위기는 어떤 소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우드, 리넨 등 자연의 감성을 담은 소재는 고유의 질감과 따뜻한 분위기로 공간에 생기를 더해주는데요. 별도의 장식이 없이도 소재만 잘 선택한다면 이국적인 무드를 완성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휴양지 감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① 우드 계열

나무는 공간에 자연스러움과 안정감을 더해주는 대표적인 소재입니다. 덩굴 식물을 가공한 라탄은 부드럽고 유연한 질감, 따뜻한 색감을 지녀 의자나 조명, 수납 바구니 등 다양한 소품에 활용되는데요. 시각적으로는 가볍지만, 내구성이 뛰어나 실용성도 갖추고 있습니다. 대나무나 짚처럼 통기성이 좋은 소재를 매트, 파티션, 벽 장식 등에 적용하면 휴양지 리조트처럼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② 천연 소재 패브릭

천연 패브릭은 공간에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더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그중에서도 리넨은 특유의 거친 질감과 우수한 통기성, 자연스럽게 생기는 구김이 어우러져 내추럴한 매력을 극대화하는데요. 커튼, 소파 커버, 침구류 등에 활용하면 특별한 장식 없이도 공간에 이국적인 감성과 여유로운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더할 수 있습니다.
③ 스톤

스톤 소재는 자연 그대로의 질감과 단단한 밀도로 공간에 깊이감과 안정감을 더합니다. 바닥이나 벽에 시공하면 시각적인 포인트가 되어 모로칸, 지중해풍과 같은 이국적인 무드를 연출할 수 있는데요. 특히 스톤 소재는 열을 흡수하고 서서히 방출하는 특성이 있어 여름철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2) 다채로운 컬러
최근에는 공간을 깔끔하게 유지하기 위해 뉴트럴 톤 위주의 단색 인테리어가 많지만, 컬러를 적절히 조합하거나 특정 공간에만 포인트 컬러를 더하면 이국적인 분위기를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강렬한 색을 넓게 사용하는 대신 쿠션, 러그, 조명 등 소품을 통해 색을 분산시키면 부담 없이 공간에 개성을 더할 수 있습니다.
① 화이트 & 샌드 베이지

화이트와 샌드베이지는 지중해풍 인테리어에서 자주 활용되는 대표적인 컬러 조합입니다. 화이트는 빛을 반사해 공간을 밝고 넓게 보이도록 도우며, 샌드베이지는 모래를 연상시키는 색감으로 부드러운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여기에 리넨이나 코튼처럼 통기성과 흡수성이 좋은 천연 패브릭을 커튼, 소파 커버, 침구 등에 적용하면 시각적으로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② 터콰이즈 & 번트 오렌지

블루 계열 컬러는 공간에 청량감과 시원한 분위기를 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터키석의 색감을 담은 터콰이즈나 네이비, 세레니티 블루, 민트 블루 등의 청량한 블루 톤 컬러는 계절감과 개방감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 선셋 골드나 번트 오렌지처럼 따뜻한 색상을 포인트로 더하면, 색 대비를 통해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는 것과 동시에 이국적인 무드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③ 올리브 그린 & 테라코타 & 샌드 베이지

그린 계열 컬러는 공간에 편안함과 생기를 동시에 더할 수 있는 매력적인 색상입니다. 초록은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자연을 연상시키는 색감이기 때문에 휴식이 필요한 공간에 특히 잘 어울리는데요. 바닥은 우드 톤이나 베이지, 흙빛 계열의 뉴트럴 컬러로 마감하고, 그린 컬러는 포인트 요소로 적절히 분산해 활용하면 조화로운 공간 연출이 가능합니다. 올리브 그린 계열의 벽지를 사용해 아트월을 연출하거나, 가구나 쿠션, 러그 등 패브릭 소품에 톤온톤으로 적용하면 자연스러운 통일감을 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다양한 종류의 실내 식물을 조화롭게 배치하면 싱그럽고 여유로운 무드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3) 다채로운 패턴

패턴은 공간에 리듬과 생동감을 더해주는 요소입니다. 이국적인 인테리어를 완성하는 데에도 패브릭의 패턴과 질감이 중요한 역할을 하죠. 모로칸 스타일의 기하학 문양, 보헤미안 감성의 태슬 장식, 트로피컬 분위기의 식물 패턴 등은 공간에 개성을 더하고 시각적인 포인트가 되어줍니다. 처음에는 쿠션, 러너 같은 소형 소품부터 활용하고, 익숙해지면 커튼이나 카펫, 벽면 장식 등으로 확장하여 스타일링을 보다 다채롭게 할 수 있는데요. 다채로운 패턴을 사용할 때는 주변 색상을 단색 위주로 구성하고, 색의 수를 최소화하면 더욱 균형 있는 공간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02. 공간별 휴양지 스타일 연출법
소재와 색감으로 전체적인 무드를 잡았다면, 이제는 공간별로 구체적인 스타일링을 더해볼 차례입니다. 공간을 사용하는 목적과 분위기에 따라 어울리는 가구와 소품을 배치하면, 일상에서도 휴양지의 여유로운 감성을 보다 실감 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거실, 침실, 욕실, 베란다 등 공간의 특성을 살려 연출하는 방법을 살펴보세요.
(1) 거실

몸을 편히 기대어 쉴 수 있는 넉넉한 라운지체어를 배치하면 휴식에 집중할 수 있는 거실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바닥에는 모로칸 스타일의 러그나 내추럴한 소재의 쿠션을 더해 이국적인 무드를 연출할 수 있는데요. 한쪽 벽면에 컬러로 포인트를 주거나 스톤 벽장재를 시공하면 한층 더 개성 있는 공간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2) 침실

흘러내리는 커튼은 부드러운 무드를 조성하고, 통기성이 좋은 리넨이나 면 재질의 침구는 여름철 숙면을 돕는 데 유용합니다. 여기에 따뜻한 색감의 스탠드 조명이나 간접 조명을 더하면 침실의 조도를 안정감 있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욕실

욕실 벽면이나 바닥에 포인트 타일을 적용하면 단조로운 공간에도 시각적인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우드 소재 트레이나 라탄 바구니로 욕실용품을 정리하면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살아나고, 작은 식물을 배치하면 공간에 생기를 더할 수 있습니다.
(4) 발코니 및 테라스

야자나 몬스테라 같은 잎이 큰 식물은 공간의 중심이 되는 시각적 포인트 역할을 합니다. 아웃도어 전용 패브릭 쿠션이나 빈백을 활용해 휴식 공간을 구성하고, 라탄 체어나 테이블을 더하면 휴양지와 같은 여유로운 분위기를 야외 공간 혹은 발코니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03. 시공사례로 보는 다양한 이국적 인테리어
복층 구조의 장점을 살린 시공 사례입니다. 높은 층고에서 느껴지는 개방감을 중심으로, 웜톤 계열의 LX Z:IN 실크벽지 베스트(베스띠) 내추럴 스타코/데저트 크림과 LX Z:IN 바닥재 에디톤 스톤 솔티 크림을 시공해 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여기에 우드 포인트를 더해 휴양지 특유의 편안한 감성을 담았으며, 실링팬에도 동일한 우드 디테일을 적용해 공간 전체에 내추럴한 무드를 살렸습니다.

거실과 연결된 발코니에는 폴딩도어를 설치해 공간을 따로 또 같이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우드 루버월과 어울리는 라탄 소재의 암체어와 테이블을 배치해 홈 카페 느낌을 더했으며, 내추럴한 소재의 소품들을 믹스 매치하여 일상에서 여유를 즐길 수 있는 홈캉스 공간으로 완성했습니다.
현관 바닥에 그린&크림 투톤 체커보드 디자인의 타일을 시공해 유럽풍의 빈티지 무드가 돋보이는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실내 벽에는 LX Z:IN 실크벽지 베스트(베스띠) 샌드 스톤 벽지를, 바닥에는 LX Z:IN 바닥재 엑스컴포트 5.0의 베인 샌드스톤을 적용해 전체적인 분위기를 차분하게 유지하되, 입구에만 생기 넘치는 컬러를 적용하여 감각적인 첫인상을 줄 수 있도록 한 점이 돋보입니다.

어떤 가구나 소품과도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벽면과 바닥을 모두 화이트 톤의 자재로 시공한 사례입니다. 전체적으로 밝고 깔끔한 인상을 준 공간에 포인트가 될 만한 코럴 컬러 소파와 우드 소재의 사이드 테이블, 수납형 장식장, 식물을 배치해 내추럴한 매력을 더했습니다. 다양한 컬러와 소재를 조화롭게 구성해 이국적인 무드가 돋보이도록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욕실 전체를 어스(Earth)톤의 테라코타 컬러로 마감한 시공 사례입니다. 매트한 질감의 소재를 사용해 남유럽과 북아프리카를 연상하게 하는 분위기를 구현했으며, 구조는 최대한 미니멀하게 완성하여 안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공간 전체를 하나의 톤으로 통일하고, 원형 거울의 간접 조명과 벽체 조명을 포인트로 활용해 깊이감 있는 분위기를 완성했습니다.
[Key Point] 📍 자연을 담은 소재와 리듬감이 느껴지는 패턴을 활용하면 별도의 장식 없이도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 침실의 패브릭, 욕실의 타일 등 공간의 주요 자재나 소품에 이국적인 감성을 더하면 스타일링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벽지와 바닥재의 톤을 통일하면, 포인트가 될만한 컬러나 소재를 배치하기가 수월해집니다. |
※ 상기 시공 예시 이미지와 제품 디자인/색상 등은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실제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단종 및 디자인 변경 등으로 동일한 제품 구매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주)엘엑스하우시스에 귀속되며,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 내 이미지는 Shutterstock에서 유료로 제공받아 제작하였습니다.
- 이전글
- 다음글
등록된 다음 글이 없습니다.